Eco-friendly
by : 현상협 12-19
중동의 대추야자는 예부터 맛난 열매와 함께 시원한 그늘까지 제공하는 고마운 존재였다. 하지만 오늘날 냉방 기기가 보편화되면서, 야자수 그늘을 소중히 여기는 사람은 그리 많…
Appropriate Technology
by : 이민희 12-15
이제 우리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으는 것이 환경을 보호하는 것임을 잘 안다. 그러나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더욱 힘든 일이 아닐 수 없다. 왜냐하면 전기를 대체할 수 있…
Appropriate Technology
by : 육재서 12-14
한 산모가 건강한 아이를 출산한다. 축복의 순간도 잠시, 산모는 지나치게 많은 피를 흘리기 시작한다. 자궁 수축 이상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‘산후출혈’은 해마다 13만 …
CSR,CSV
by : 육재서 12-14
“당신의 잔돈(change)이 아프리카에 큰 변화(change)를 일으킵니다.”인파가 붐비는 런던의 거리 위, 커다란 화면에 아프리카 여성의 미완성 초상화를 걸고 있다. …
Appropriate Technology
by : 현상협 12-07
어릴 때부터 안경을 줄곧 착용했던 사람이라면 주기적으로 안경원을 찾아가 새 안경을 맞추는 일의 불편함을 알고 있을 것이다. 하지만 더 불편한 것은, 안경원이나 안과가 없어…
Appropriate Technology
by : 육재서 12-07
갈 곳 잃은 이들이 잠을 청할 곳은 더러 춥고 딱딱하다. 매년 겨울 노숙인이 동사했다는 뉴스는 안타까움을 자아낸다. 사람이 거리에서 잠을 잘 수밖에 없다는 현실이 못내 불…
Appropriate Technology
by : 육재서 12-07
차가운 오두막에 누워 출산하는 산모, 그러나 그 옆에는 조산사가 없다. 마을 어른이나 시어머니가 있을 뿐이다. 개발도상국에서는 전문 조산사가 없는 위태로운 환경에서 출산이…
Social Innovation
by : 이민희 12-07
현재 미국에서만 약 4천만명 정도가 에너지 빈곤(Energy Poverty)에 처해 있다. 에너지 빈곤은 에너지가 필요한 가정에서 에너지를 공급받을수 있는 능력이 없을 때…
Eco-friendly
by : 현상협 11-30
쌀쌀한 저녁,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다가 손이나 옷을 더럽힌 경험이 있지 않은가? 그럴 때마다 쓰레기통이나 비닐봉지를 던져버리고 싶은 충동을 억눌렀을 것이다. 그런데 이제는…
Appropriate Technology
by : 육재서 11-29
매년 3백만 명의 신생아가 생후 1달 안에 사망한다. 이 중 선진국에서는 쉽게 치료가 가능한 질환으로 맥없이 죽어가는 신생아가 98%에 달한다. 의료 기술과 시설 수준이 …
Eco-friendly
by : 육재서 11-29
미세먼지가 걱정되어 기상 정보를 찾아본다.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통합대기지수 수치가 얼마인지 확인한다. 오늘 지수는 ‘45’이니까 '보통' 수준이다. 안심해도 되는 것일까?…
Social Innovation
by : 현상협 11-28
재난 현장에서 도로가 파괴되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. 수많은 구호품과 인력이 지원되더라도 현장에 다다르지 못해 발만 구르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. 이를 쉽게 극복할 수 …
Eco-friendly
by : 현상협 11-24
인도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벵갈루루에서는 매일 5천 톤의 쓰레기가 발생한다. 이 중 재활용되는 것은 25%뿐이고, 나머지는 매립되거나 소각된다. 소각되면서 온실가스를 방출…
Appropriate Technology
by : 현상협 11-23
ⓒ BP Kl코코넛은 이국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때 빠지지 않는 소재다. 하지만 열대기후가 아닌 지역에서는 가공된 식품이나 음료로만 접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. 코코…
Eco-friendly
by : 육재서 11-18
ⓒ Levi Strauss & Co.미국에서는 매년 13만 톤의 옷이 버려진다. 이 중에서 재활용되는 것은 단 2만 톤뿐, 나머지 11만 톤은 쓰레기 매립지로 직행…
CSR,CSV
by : 육재서 11-17
“비 더 레즈(Be the Reds!)”라고 적힌 붉은악마 티셔츠, 혹은 엉뚱한 의미이거나 문법도 맞지 않는 문구가 적힌 티셔츠를 개발도상국 주민이 입고 있다. 우스꽝스러…
Appropriate Technology
by : 이민희 11-16
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자연을 이용하는 지혜가 아주 풍부했다. 땅 속에 묻는 김장독이나 흙으로 지은 집 등이 바로 대표적인 예이다. 전기가 없었던 시대에 살았던 우리 조상…
Appropriate Technology
by : 육재서 11-15
ⓒ northlightfilmsindia세계적으로 안전한 식수를 이용하지 못하는 인구는 여전히 7억 명. 이들이 매일 식수를 구하기 위해 소비하는 시간을 합하면 2억 시간…
SOCIAL
by : 현상협 11-10
잠을 자거나, 한 곳에서 무언가를 하는 시간을 제외하고 사람들이 대부분 하는 것, 바로 걷기다. 사람들이 걸으며 소비하는 에너지의 양은 엄청나다.사람의 발걸음이 지닌에너지…
SOCIAL
by : 현상협 11-10
ⓒ The Better India착시 현상이란 시각적 착각이 일어나 사물이 실제 모습과 다르게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. 다시 말해 뇌를 속이는 것이다. 이를 활용해 이른바 …
Social Innovation
by : 현상협 11-03
ⓒ London Live영국을 떠올리면 생각나는 상징, 빨간 공중전화 박스. 하지만 이것도 옛날 이야기다. 핸드폰이 보급되어 쓰임이 줄어들면서 애물단지가 된지 오래기 때문…
Appropriate Technology
by : 육재서 11-03
“동아프리카 인구 200명 중 1명은 오늘도 ‘장애’라는 감옥에 갇혀 있다.”표현이 조금 거칠다고 느껴지는가? 장애인에 대한 복지 체계가 거의 갖춰지지 않은 개발도상국에서…
Social Innovation
by : 현상협 11-03
ⓒ City of Boston곧 있으면 눈의 계절, 겨울이다. 겨울이 되면 한껏 쌓인 눈과 그로 인해 정체된 출근길에 눈살을 찌푸려 본 경험은 누구나 있을 것이다. 매년 …
Eco-friendly
by : 현상협 11-03
야간에 자전거를 타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지 타 본 사람은 익히 알고 있을 것이다. 갑작스레 행인이 튀어나오거나, 장애물을 미처 발견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. 그러…
Social Innovation
by : 육재서 11-03
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흉물스러운 폐가. 그 공간에 생기를 불어넣는 이들이 있다. 미국 디트로이트의 폐가들을 온실 농장으로 바꾸는 ‘애프터하우스(Afterhouse) 프로젝…
Appropriate Technology
by : 최현구 11-02
BIZION은 수년 전부터 우리 지구의 물 부족의 문제를 지적해왔다. 그리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도 소개해왔다. 그러나 아직도 지구의 물 문제는 해결되지 않…
Social Innovation
by : 육재서 10-28
영국에서는 140만 명의 아이들이 무상으로 급식을 지원받는다. 그러나 이들 중 30만 명은 2009년까지 무상 급식의 혜택을 받지 못했다. 영국 정부는 서면으로 이루어지는…
Eco-friendly
by : 현상협 10-28
차량 증가에 따른 주차 공간 부족과 도시 환경 오염이 심화되고 있다. 유럽연합(EU)은 ‘유럽 배출가스 기준(European Emission Standards)’을 제시했…
Social Innovation
by : 이민희 10-27
아직도 집 없이 사는 사람들이 많다. 쪽방촌, 고시촌 등에서 매일 쪽잠으로 하루를 보내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지 모른다. 이들에게 집이란 허상에 불과할 뿐이다.우리 사회는…
Eco-friendly
by : 육재서 10-25
이스라엘의 디자이너, 노아 러너(Noa Lerner)는 인도 여행 중 심각한 문제를 발견했다. 주요 대도시에 공중화장실이 없었던 것이다. 하수시설이 갖춰지지 않은 슬럼가에…